맨위로가기

제 태공 (전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태공은 제나라의 유력 귀족 가문인 전씨 출신으로, 제 선공과 강공 대에 재상을 지냈다. 그는 실질적인 통치자로서 강씨 왕조를 대체하고자 하였고, 기원전 386년 주 안왕의 인정을 받아 제후가 되어 '전제'를 건국했다. 전태공은 노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기원전 385년에 사망했다. 그의 묘는 산둥성 칭저우시에 있으며,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85년 사망 - 혁성왕
  • 기원전 385년 사망 - 송 도공
    송 도공은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제32대 임금으로, 백성들에게 어진 정치를 펼쳐 신망을 얻었다.
  • 전국 시대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전국 시대의 군주 - 제 선왕
    제 선왕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소진과 맹자를 등용하여 국정을 자문하고 정치 이론에 대한 조언을 구했으며, 한나라를 구원하고 위나라를 격파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지고 직하를 번성시켰다.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열왕
    주 열왕은 주 안왕의 아들이자 주 위열왕의 손자이며, 기원전 374년 진나라 헌공에게 천하 통일을 암시하는 예언을 남겼고, 기원전 369년에 사망하여 동생 편이 뒤를 이었다.
제 태공 (전제)
기본 정보
이름제 태공 (齊太公)
규 (媯)
전 (田)
화 (和)
왕조전씨
출생미상
사망기원전 384년
통치
작위제의 군주
재위 기간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4년
이전 군주강공
후임 군주제 후
가계
부친전장자
배우자소비 (蕭妃)
자녀제 후
환공

2. 생애

전 태공(田太公)은 제나라의 유력 귀족 가문인 전씨(田氏) 출신으로, 선공과 강공 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다. 전 태공의 증조부인 전횡이 기원전 481년에 기나라 간공을 살해한 이후, 전씨 가문은 기나라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1]

기원전 404년, 전화는 형 전도자의 뒤를 이어 전씨 가문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표면적으로는 강씨 가문의 마지막 통치자인 강공 아래에서 섬겼지만, 사실상 스스로 국가를 통치했다.[1]

기원전 391년, 전태공은 강공을 몰아내고 스스로 제공을 칭했다. 기원전 386년, 전화는 주의 안왕에게 제후로 인정받았다. 기원전 379년에 강공이 죽으면서 태공망 이래의 강씨 가계는 단절되었고, 제나라의 지배권은 완전히 전씨에게 넘어갔다.[1]

태공은 즉위한 지 2년 만인 기원전 384년에 사망했다. 그의 뒤는 아들 전연이 이었고, 전연은 나중에 태공의 아들인 전환공 전무에게 살해당했다.[1]

2. 1. 강제에서 전제로

기원전 391년, 전태공은 강공이 황음무도하다는 이유로 그를 바닷가로 쫓아내고 성 하나만을 주어 식읍으로 삼게 했다.[5] 기원전 389년, 탁택에서 당시 패자로 인정받던 위 문후와 회견하여 주나라 왕실에 자신을 제후로 정식 인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위 문후는 주 왕실에 이를 요청했고, 동주 안왕의 허락을 받아 기원전 386년 전태공은 강공을 대신하여 제후(齊侯)가 되었다.[5]

이후 제 강공은 2년을 더 살다 죽었고,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 이래의 강씨 제나라는 완전히 멸망했다.[6] 이후의 제나라는 '전씨의 제나라'라는 의미로 전제(田齊)라고 불린다.

2. 2. 기타

기원전 390년, 제나라는 노나라와의 평륙 전투에서 패배했다.[5] 기원전 385년 제나라는 노나라를 이겼으나, 같은 해 전태공은 사망했다.[7] 그의 사후, 그의 아들 전연이 즉위했으나, 이후 전태공의 또 다른 아들인 전환공 전오(田午)에게 살해당했다.[1]

3. 묘소

산둥성 칭저우시 보통향 쳉자거우(程家沟) 마을 근처에 전태공의 묘가 있다. 현재 남아있는 묘는 동서 방향으로 190m, 남북 방향으로 84m, 높이 30m이다. 전태공 묘를 포함하여 티엔치(田齊) 통치자들의 묘 7기는 현재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보호받고 있다.[3] 2008년부터는 고대 제나라 수도 및 묘역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포함되었다.[4]

4. 가계

田齊중국어 태공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배우자아들
|


4. 1. 조상

증조부조부
전제희자 (기원전 485년 사망)전제성자전제장자 (기원전 411년 사망)


4. 2. 배우자


  • 소비(孝妃중국어): 태자 무의 어머니
  • 부인 (기원전 364년 사망): 태자 연의 어머니

4. 3. 아들


  • 태자 전연(公子剡중국어; 기원전 375년 사망): 기원전 383년부터 기원전 375년까지 제나라 공작이었다.
  • 태자 전오(公子午중국어; 기원전 400년~357년): 전환공으로 기원전 374년부터 기원전 357년까지 재위하였다.

5. 평가

전 태공은 강씨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전씨 제나라를 건국하여, 춘추전국시대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새로운 질서를 세운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기존 지배 세력을 축출하고 자신의 가문을 중심으로 권력을 재편한 것은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전 태공의 행적이 정당했는지, 백성의 뜻을 반영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부작용이 있었는지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1]

전횡이 기나라 간공을 기원전 481년에 살해한 이후, 전씨 가문은 기나라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기원전 386년, 주의 안왕은 전화를 제나라의 군주로 인정하여 강씨 가문이 6세기 이상 유지해온 통치를 종식시켰다. 전화는 전씨 가문 출신으로 기나라의 첫 번째 법적 통치자가 되었으며, 사후 제 태공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379년, 강공이 죽으면서 여상(태공망) 이래의 강씨 가계는 단절되었고, 제나라의 지배권은 완전히 전씨에게 넘어갔다.[1]

참조

[1] 서적 Shiji ''(史记)'' Zhonghua Book Company
[2] 웹사이트 House of Tian Jingzhong Wan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6-01
[3] 웹사이트 Tian Qi mausoleums: typical examples of Warring States mausoleums http://www.qidu.net/[...] Qidu.net 2009-01-11
[4] 웹사이트 Site of the Qi State Capital and the Mausoleum of King of the Qi State at Linzi https://whc.unesco.o[...] UNESCO 2012-06-01
[5] 위키문헌 사기 권46 전경중완세가제16
[6] 위키문헌 사기 권32 제태공세가제2
[7] 위키문헌 사기 권15 육국년표제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